Surprise Me!

[아는기자]이진숙, ‘카피 킬러’ 검증 못 믿는다?

2025-07-16 0 Dailymotion

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정치부 이남희 선임기자와 더 팩트체크해봅니다. <br> <br>Q. 이진숙 후보자가 범학계 국민검증단이 '표절'이라고 한 검증 결과를 부인했어요. 검증단의 '카피 킬러'를 통한 검증, 못 믿겠다는 거예요? <br><br>'카피 킬러'란 논문이 기존 논문과 얼마나 비슷한지 표절 여부 판별하는 시스템입니다.<br><br>앞서 국민검증단은 이 후보자 논문 표절률이 최대 56%에 이른다고 발표했죠.  <br><br>그런데 이 후보자는 "신뢰 못한다. 내가 돌려보니 10% 겨우 넘는다"고 했는데요.<br> <br>이 후보자는 못 믿겠다지만 석박사나 교수들대부분 카피 킬러로  논문 표절 여부따지거든요. <br><br>다만 조건 설정을 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표절률 수치는 달라질 수는 있습니다. <br><br>한 교수는 "아무리 조건 바꿔도 표절률이 50%대에서 10%대로 낮아지기 쉽지 않다"고 했는데요.<br><br>이 후보자가 어떤 논문을 어떤 조건 넣어 카피 킬러로 검증했는지는 알 수 없어 추가 검증은 필요합니다. <br><br>Q. 이진숙 후보자가 논문 표절 의혹 부인하면서 "이공계 관행"이라고 수차례 반복했어요. 뭐가 이공계 관행이란 거예요? 맞는 말이에요? <br><br>이 후보자는 제자 석박사 논문과 비슷한 시기, 혹은 뒤에 유사한 논문을 발표해 '제자 논문 표절, 가로채기 의혹' 불거졌는데요. <br> <br>이 후보자 해명은 이겁니다. <br> <br>"이공계에선 교수와 제자가 같이 공동 연구할 때 기여도에 따라서 제1저자를 결정한다. <br><br>이게 연구재단의 지침"이라고요. <br> <br>그러니까 교수가 따온 공동 연구주제에 대해 제자가 논문을 1저자로 먼저 발표해도 교수 기여도가 가장 높으니 1저자 등재 문제가 없단 겁니다. <br> <br>하지만 학계에선 반박이 나왔습니다.  <br><br>"공대만의 논문 저자 표기 원칙 따로 없다"고요.<br><br>Q. 이진숙 후보자는 "내가 수주한 연구, 1저자가 당연하다"고 하잖아요. 소명 됩니까? <br><br>이 후보자가 이공계 관행 얘기하면서 근거로 든 게 '2016년 한국연구재단 연구윤리 내용'인데요. <br><br>하지만 같은해 발간된 같은 재단 자료집엔 이렇게 적혀있습니다.  <br><br>'학생 학위 논문을 학술지 논문으로 거의 그대로 전환하면 학생이 제1저자가 되는 게 적절하다'고요.<br><br>기여도로 1저자 따진다는 이 후보자 주장과 배치되죠. <br> <br>검증단도 공식 반박했습니다. <br><br>"학생 학위 논문 이용해 자신을 학회지 1저자로 한 것 교육자로 있을 수 없는 일"이라고요.<br><br>Q. 그런데 이해가 안 가는 게, 이 후보자는 자신이 사실상 1저자인데도 제자 논문 통과시켰다는 거예요? <br><br>바로 그 부분을 학계도 문제삼고 있는 겁니다. <br><br>한 이공계 교수는 "자기가 통과시킨 제자 논문 1저자가 본인이라고 주장하는 건 모순"이라고 비판했습니다.<br><br>그래서 오늘 "제자 항의 없었느냐" 질문도 나왔고요. <br><br>Q. 민주당 의원은 "논문표절로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사퇴한 예는 없다"고 주장하더라고요? <br><br>민주당 김준혁 의원 주장은 이렇습니다. <br><br>김인철 후보자는 '방석집 논문심사'로 박순애 후보자는 5세 조기입학 건으로 사퇴했단 겁니다.<br><br>그것도 낙마 사유였지만, 논문 표절도 분명 문제 됐습니다.  <br><br>특히 김병준 부총리는 표절이 아니라고 반박했지만 제자 논문 표절 의혹으로 결국 사퇴했고요. <br><br>민주당 내에서도 "무리한 주장"이란 반응 나왔습니다.<br /><br /><br />이남희 기자 irun@ichannela.com

Buy Now on CodeCanyon